UAM 생태계

· 기체개발/제작사, 운송사업자, 교통관리서비스공급자(PSU*), 버티포트 운용자, 부가정보서비스제공자(SDSS**) 등의 주체들로 구성 * PSU(Provider of Services for UAM) : 민간 교통관리 서비스 공급자
** SDSS(Supplement Data Service Supplier) : 기상 등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자 · UAM 기체개발/제작사, 부품공급업체 - UAM 서비스에 필요한 기체를 개발·제작하고, 소요되는 부품 등을 제공 · 운송사업자 - UAM 수요에 응해 구매·리스한 UAM용 기체를 활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에 대한 운송서비스를 제공 · 버티포트 운용자 - UAM 기체의 이착륙장을 운용하면서 운송사업자에게 지상조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UAM 이용자에게 교통 탑승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
- 버티포트(Vertiport)는 기존 항공운송산업에서의 공항(Airport)과 같은 역할을 담당 · 교통관리서비스공급자 - 운송사업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UAM 기체에 대한 운항계획 등 교통관리서비스를 제공 · 부가정보서비스 제공자 - UAM 운송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UAM 운송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상, 장애물 등의 정보 제공 · 정부 - UAM 생태계 참여자들에 대한 각종 인증, 법규의 제정, 관리체계 구축 및 UAM 공역관리를 위한 ATC* 운영 등의 역할 수행
*ATC(Air Traffic center, 항공교통센터)는 항공교통 관제업무를 수행하는 국가기관으로, 국내 관제공역 내 비행하는 항공기에게 항공교통업무를 제공

항공운송산업에서는 ATC가 공역 내 운항하는 항공기 간 충돌 방지 등 공교통관제 역할을 담당하지만, UAM에서는 교통관리서비스공급자가 ATC 역할 담당

UAM 연관 기술

· UAM은 크게 하드웨어 측면의 기체 관련 기술, 소프트웨어 측면의 운항 및 관제 관련 기술 그리고 인프라·서비스 등으로 구분 - (하드웨어) 저소음·저탄소배출 등의 도심 운용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전기추진시스템, 고밀도 배터리, 경량·고강도 소재 등에 대한 기술이 요구
- (소프트웨어) 운항안정성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자율비행 및 충돌회피 기술 및 최적 항로 예측, 비행 관제 등에 대한 기술 필요
- (인프라·서비스) 도심 내 환경에서 UAM용 이착륙장을 확보하기 위한 버티포트 구축 기술 및 대중교통수단으로써 타 교통수단과의 환승·연계 시스템 필요